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.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과 신청 방법 가입 시 혜택까지 알아볼 텐데요.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한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.
개인소득과 납입 금액에 때라 정부에서 기여금을 더해 큰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금융 상품인데요.
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서 정부 기여금을 매월 최대 6%의 지급하고
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제공한다고 하니 은행이자 보다 높아 빨리 신청하셔야겠죠?
자 그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청년 계좌 가입대상 조건
- 나이 : 19~34세 해당하는 청년 (병역복무 기간 최대 6년 추가로 인정됨)
- 개인 소득 : 총 급여액 7.50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분 ( 종합소득 6300만 원 )
- 가구 소득 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중 중위소득 180% 해당하는 분
보건 복지부 장관 고시 2023년 기준 중위 소득 180%
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
3,740,206원 | 6,221,079원 | 7,982,669원 | 9,721,735원 | 11,395,238원 | 12,010,366원 |
중위소득을 잘 모르신다면 소득 금액 증명서를 온라인으로 쉽게 발급받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신청 방법
신청기간은 매월 초부터 2주 동안 신청을 받고 약 3주가 서민금융위원회에서 심사를 하는데요. 심사가 끝나고 나면 다음 달
계좌 개설 및 저축납입이 시작됩니다. 청년도약계좌 가입심사 절차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.

일반적으로 정부 지원 상품은 정책 사이트에서 신청하는 게 일반적이나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개별 은행 영업시간이나 개별 모바일 앱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은행 앱 신청 방법
1. 본인이 거래하는 은행 앱 (앱이 없을 시 다운로드 ) - 2. 청년도약계좌 검색 - 3. 가입하기 (조건, 심사, 상품에 대한 설명 )- 4. 동의하기- 5. 신청완료
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혜택
저축한 은행이자 + 비과세 혜택 + 정부기여금 (납입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로 정부기여금을 지원합니다.
저소득층 청년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.
개인 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예시

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사항
- 본인명의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 계좌만 가입 가능
- 현재 청년희망 적금 가입을 유지하고 있는 분은 가입이 불가능합니다.
- 만기 전 중도해지 시 본인이 부담한 금액만 지급됩니다.
-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고 전전 과세기간의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한 경우 가입 후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 개인소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비과세 혜택 적용 불가합니다.

함께 보면 좋은 글

















